반응형
운이 좋게도 자동차 샤시 전장 설계실에서 인턴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.
그 중에도 전자 유압 브레이크(E-brake)를 담당하고 있는 팀에서 인턴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.
인턴으로 지내면서 공부하고 정리했던 내용들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.
개념
- One Box Brake System은 브레이크 부스터 + ABS/ESP 제어 장치를 하나의 모듈로 통합한 전자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(EHB, Electro-Hydraulic Brake)
- Brake-by-Wire 개념의 한 형태로, 운전자의 페달 조작이 기계적으로 바퀴 제동 회로와 직접 연결되지 않음
- 제동력은 전기 모터와 유압 생성 장치가 전적으로 담당
- 페달에는 감각 시뮬레이터가 달려 있어 운전자에게 제동 감각을 전달
동작 원리
정상 제동
- 페달 스트로크 센서가 운전자의 페달 변위를 측정
- ECU가 목표 제동압(휠 실린더 압력)을 계산
- 전동 유압 발생 장치가 모터를 구동해 유압 생성
- 전자제어 밸브를 통해 각 바퀴 제동력 분배
- 페달 감각 시뮬레이터가 스프링과 댐퍼로 실제 제동 느낌 재현
회생 제동 연계
- 회생 제동 요구 시, ECU가 모터 제동 토크와 유압 제동 비율을 실시간으로 조정
- 저속 또는 급제동 시 유입 비중이 높아짐
- 일반 감속 시 회생 비중이 높아짐
고장 시 동작
- 일부 설계에서는 저성능 유압 백업 회로나 EPB(전동 파킹 브레이크)로 비상 제동
- 2-Box(iBooster + ESP) 대비 기계적 백업 경로가 제한적
구조 구성 요소
- 페달 모듈 : 스트로크 센서, 페달 감각 시뮬레이터
- 전동 유압 발생 장치 : 모터, 피스톤/펌프, 감압 밸브
- 제어 밸브 블록 : ABS, ESC, TCS 기능 포함
- 제어 ECU : 제동 요청 해석, 압력 제어, 회생 제동 연계, ADAS 연동
장점
- 통합화, 경량화 : 부품 수 감소, 배선 및 배관 단순화
- 제어 자유도 : 페달 감각과 제동 특성 SW 조정 가능
- 고효율 회생 제동 : 0.3 ~ 0.5g 감속까지 회생 가능
- ADAS/자율주행 호환성 : AEB, ACC, LKA 등과 제동 연동 용이
- 플랫폼 유연성 : EV, 하이브리드, 내연기관차 모두 적용 가능
단점
- 노면 피드백 부재 : ABS 작동 시 페달 진동 없음 → 노면 상태 감지 어려움
- 전자 의존성 ↑ : 전원 및 통신 장애 시 제동 성능 저하 위험
- 백업 제동 한계 : 전자 부품 고장 시 비상 제동 성능이 2-Box 대비 떨어짐
- 페달 감각 이질감 : 시뮬레이션 방식 특유의 반응 지연 가능성
2-Box 시스템과의 비교
구분 | One Box | Two Box |
구성 | EHB + ABS/ESP 일체형 | EHB와 ESP 분리 |
페달-제동 회로 연결 | 완전 전자식 (기계 분리) | 일부 기계 연결 존재 |
백업 제동 | 제한적, 주로 EPB 활용 | ESP 유압 기능으로 가능 |
회생 제동 효율 | 높음 (0.3 ~ 0.5g) | 보통 (0.3g 이하) |
비용 | 낮음 (부품 통합) | 높음 (부품 이중) |
피드백 감각 | 제한적 | 존재(ABS 작동 시 진동 전달) |
반응형
'임베디드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차량 유압 브레이크에서 CAN의 비동기 통신 뜯어보기 (0) | 2025.09.09 |
---|---|
자동차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플런저 뜯어보기 (0) | 2025.09.09 |